안녕하세요!
부천 이보다치과 대표원장 배태현 입니다.
혹시 유독 아침에 턱이 뻐근하고
입이 잘 안 벌어진 적이 있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무심코 넘기는 이러한 증상이
사실은 "이갈이"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자는 동안 무의식적으로
치아를 꽉 물거나 이를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이갈이가 있으신 분들은
자기 자신이 이갈이를 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갈이는 단순한 습관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치아 손상, 턱관절 장애,
심지어 수면의 질까지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입니다.
오늘은 이갈이가 있을 때
어떤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는지,
이갈이 치료법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갈이가 있으신 분들은
다음과 같은 징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치아관련
1) 치아마모
2) 치아균열, 파절
3) 치경부마모
2. 턱관절 및 근육 관련
1) 턱관절 통증
2) 근육긴장 및 근육통
3) 턱관절 잡음 (턱에서 딱딱 소리)
4) 아침에 뭔가 더 불편한 느낌과 통증
3. 기타
1) 두통
2) 귀울림(이명)
3) 수면의 질 저하
여러 가지 증상과 징후들을 열거해 봤는데요.
이것들 중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 집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집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큰 거울 앞에 서시고 휴대폰 플래시로 입안을 비춰
다음과 같은 징후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은 징후가 있을 경우 이갈이 또는 이 악물기 습관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혀의 압흔
꽉 깨문 어금니로 인해 혀에 자국이 생긴 것입니다.
2. 볼 안쪽 씹힌 자국 (백선,linea alba)
혀의 압흔과 마찬가지로 볼 점막에도 꽉 깨문 자국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치아 마모, 치아 옆구리 패임
이갈이, 이악물기로 인해치아에 과도한 교합력이 가해지면 치아마모가 발생합니다.
어금니 씹는 면이 마모되거나 치아 옆구리 패임으로 인해 시린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갈이가 있으신 분들은 특히 송곳니가 편평하게 마모되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입을 벌리려고 하면 턱이 뻐근하거나
잘 안 벌어지다가도 시간이 좀 지나면 뻐근했던 게 풀리고
입이 잘 벌어진다면 야간 이갈이, 이악물기 습관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갈이로 인한 치아와 치아보철물의 마모는
교합의 변화를 일으켜 턱관절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갈이 때문에 턱관절 질환이 심화되면 치아와 치아보철물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턱관절과 치아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이갈이를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는다면 충치치료나 임플란트 등
치과치료를 받은 부위가 더 일찍 망가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치아 마모가 심하신 분들은 치료받은 부위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
크라운이나 임플란트 치료와 함께 이갈이 장치와 보톡스 치료를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로선 이갈이를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없습니다.
(확실하게 없애는 치료법을 개발하면 노벨상 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갈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예방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꾸준히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1. 이갈이 장치 (스프린트)
이갈이 스프린트
스프린트를 착용하면 치아가 직접
맞물리지 않아 치아마모와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프린트의 두께만큼 턱관절과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완화시켜
이갈이로 인해 생기는 턱관절 통증이나 두통 등의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스프린트는 한번 제작하면 끝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내원하시어
필요한 부분을 조정 받으셔야 합니다.
스프린트는 꼭 치과에서 맞춤으로 제작해야 합니다.
시중에는 셀프로 제작하는 이갈이 장치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물렁물렁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경우
오히려 장치를 질겅질겅 씹으면서 이갈이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딱딱한 재질이더라도 스프린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교합조정을 정확히 해주지 않으면 턱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2. 보톡스
어금니를 꽉 깨무는데 관여하는 근육에 보톡스 주사를 놓아
근육의 힘을 줄여주는 치료방법입니다.
보통 피부과에서 미용목적으로 사각턱 보톡스를 많이 시행하고 있지만,
치과에서는 관자놀이 부위(측두근)에도 보톡스 주사를 놓고 있습니다.
두 군데 동시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이갈이 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납니다.
보톡스 주사를 맞는 주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6개월 간격으로 주사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갈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갈이는 단기적으로는 큰영향을 주지않더라도
장기적으로 치아나 턱관절에 점진적으로 손상을 주기때문에
가능하면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여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중동치과 이보다치과에서는
물리치료, 스프린트, 보톡스 등 턱관절 질환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치료방법을 제시해드리고 있습니다.
이갈이 때문에 고민이시라면
이보다치과에 내원하시어
자세한 상담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